다문화뉴스

<다문화교육> 갈 길 먼 다문화교육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3,965회 작성일 12-02-24 09:08

본문

 

 

 

 

"교과서 집필자, 교사도 다문화 인식 부족"

 

(서울=연합뉴스) 경수현 기자 = "소수 집단을 배려하고 다름을 인정하는 교육", "피부색이나 핏줄은 다르더라도 한국인이면 한국인으로 받아들이는 자세"...

교육 전문가들이 말하는 다문화 교육의 지향점이다. 그러나 교육 현장의 현실은 아직 목적지와는 거리가 멀다.

작년 12월 한국다문화교육학회, 국회 입법조사처 등 공동 주최로 열린 '사회 통합을 위한 다문화 교육의 현황과 과제'라는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은 "갈 길이 멀다"고 입을 모았다.

그도 그럴 것이 교육과학기술부가 '다문화 가정 자녀교육 지원' 계획을 수립해 다문화 교육정책을 펴기 시작한 시점은 고작 2006년부터다.

2007년 교과과정 개정으로 '배달민족'이나 '단일민족' 같은 용어는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빠졌다. 하지만 단어 몇 개가 사라졌다고 다문화 친화적인 교육이 이뤄진 건 아니다.

 

 

 

 

장인실 경인교대 교육학과 교수(한국다문화교육연구원장)는 "교과서 집필자들조차 다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지 못한 경우들이 많다"며 "교과과정을 전반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아직도 남아 있다"고 지적했다.

과거 '의사는 남성', '간호사는 여성'으로 고정관념을 고착화한 삽화들이 교과서에 나오다가 양성평등 의식의 확산과 함께 하나둘 고쳐졌듯이 다문화를 보는 시각 자체의 전환이 필요하고 다문화 사회에 맞는 교과과정 개선이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예를 들면 현재의 교과서도 일제 강점기를 가르치는 과정에서 일본과 일본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조장하는 방식으로 구성돼 있다는 것.

김성열 경남대 부총장은 "학교 현장에서 교육은 결국 교사에 의해 이뤄지는 만큼 무엇보다 교사들이 다문화 교육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인식하고 교육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교대나 사범대에 재학 중인 교직 희망자를 대상으로 한 다문화 이해 교육강좌나 현직 교사에 대한 다문화 교육 연수는 아직 부족하다는 게 대부분 교육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김 부총장은 "미국에서는 영어가 미숙한 이주민 자녀에게 보조교사를 붙여줘 일정 수준의 언어 능력을 갖출 때까지 도와주기도 한다"며 "정권 교체와 상관없이 지속적인 정책이 이뤄지도록 다문화 교육 관련법 제정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다문화 가정 자녀를 따로 구분짓는 현재의 지원 구조를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차윤경 한양대 교수는 "학교에서도 '다문화 가정 자녀 모여' 하는 식으로 각종 행사나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은연중에 이들을 구분짓고 도와줘야 한다는 형태로 대상화한다"며 "생김새가 우리와 다르지 않은 중국이나 일본 출신은 다문화 가정의 자녀라는 사실이 알려지면 괜히 놀림감만 된다"고 지적했다.

 

 

 

 

 

 

교육과학기술부도 전문가들의 의견에 대체로 동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반 학생의 인식 개선에 정책의 무게 중심을 더 두고 교원 연수의 확대를 비롯한 다문화 교육 선진화 방안을 수립 중이다.

설세훈 교육복지과장은 "잘못 대비하면 사회적인 비용이 엄청날 것"이라며 "다문화 사회의 핵심은 통합이고 이를 위해서는 학교가 중심이 돼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사진 설명 = 지난해 초등학교 5학년 도덕 교과서에 새로 실린 한국계 혼혈 미국프로풋볼(NFL) 선수 하인스 워드의 성공 이야기. 대안 초등학교로 문을 연 지구촌국제학교의 작년 입학식 모습.)

 

evan@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2012/02/22 08:00 송고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Copyright 2019 © 경기글로벌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