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지역 이주 노동자들의 한 달 평균 생활비가 20~30만 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여전히 직장 내에서 차별과 폭력에 시달리는 것으로 확인됐다.

18일 UN이 정한 '세계이주민의 날'을 맞아 경남이주민센터는 도내 14개 나라 이주 노동자 433명의 노동·생활 실태 설문조사 결과를 내놓았다.

이주 노동자들은 자국의 가족에게 월평균 107만 원 남짓을 보내고 있다. 월평균 임금 158만 원 가운데 송금액을 107만 원으로, 방세 등 기본 생활비를 21만 원으로 잡으면 남는 돈은 30만 원. 임금 대부분 가족 생활비로 보내고 정작 자신은 저축할 여력이 없다는 것이다. 본국으로 돌아간 뒤 삶에 대한 준비를 못 한다는 얘기다. 월 생활비는 30만 원 이하가 49.7%(215명)로 절반에 가까웠다.

이들은 직장 생활에서 '낮은 임금' 8.3%(36명), '인격적 대우' 5.8%(25명), '외국인에 대한 차별' 5.3%(23명) 등에 불만이 있다고 했다. 현 직장에 만족 못 하고 '사업장 변경을 희망한다'고 40.4%(175명)가 응답했으며, 이 중 33.7%(59명)가 '적은 임금 때문'이라고 이유를 꼽았다.

17.8%(77명)는 직장에서 폭행을 겪었다고 했다. 가해자는 '직장 내 한국인 노동자' 63.6%(49명), '직장 관리자' 26%(20명) 등으로 모두 한국인에 의한 폭력이었다. 33.9%(147명)가 산재 피해를 본 적이 있지만, 19%(28명)만이 산재보험으로 처리됐다고 답했다.

이에 센터는 "근로 조건에서 고용국 국민보다 불리하지 않은 취급을 받는다고 정한 'UN이주노동자권리협약'을 속히 비준해야 한다"며 "정부는 일정 체류 기한을 넘겨 기술을 확보한 비전문 취업자에게 영주권 획득이 가능하게 하는 노동허가제, 이주노동자를 사용하는 고용주가 사회적 비용을 부담하는 고용부담금제도 등 도입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센터는 8월 1일~10월 31일 설문조사를 벌였다. 조사 대상 평균 모델은 20대 후반 고졸 이상 남성 합법 취업자였다. 2001년부터 센터는 매해 경남지역 이주 노동자의 노동·생활 실태조사를 하고 있다.